국내 기술을 넘어 세계의 기술로   

Incinerator 


 

   설계의 지향점

 아이콘_나뭇잎 완전 연소

환경오염차단은  완전연소에서 시작합니다.

완전연소는 연료를 적게들게 합니다.

그래서 저희는 완전연소를 목표로 기기를 설계합니다

아이콘_나뭇잎 환경오염방지

내일의 아이들에게 희망과 기회를 주고 싶습니다.

그렇게 저희는 깨끗한 공기와 물을 만들어냅니다

아이콘_나뭇잎 적정한 설계

지나친 설계는 과도한 제작비와 높은 유지비용을 낳습니다. 최고의 기술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 제품을 만들어 갑니다.

아이콘_나뭇잎 편리성

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,  고장이 적고 안전한 제품.

사용자를 위해 저희가 만듭니다 


 

   주요 기술

 

❑ 주연소실

일반폐기물, 지정폐기물, 의료폐기물과 같은 다양한 폐기물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연소방식을 선택하여 제공함으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.
        ■ 단열재질의 다양화로 연소방식에 따른 적합한 내화단열방식을 제공
        ■ 최고 1400℃이상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내화물의 시공가능
        ■ 자동 투입, 자동 재배출로 한번에 이루어지는 논스톱연소방식 채택
        ■ 사용하기 편리한 쾌적한 사용자 제어시스템
❑ 재연소실

충분한 재연소와 버너불꽃의 미 반응부가 없도록 연소실을 설계함으로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.
        ■ 2차버너에 의한 완전연소방식을 채택하여 CO등 미연소가스의 발생을 차단
        ■ 충분한 체류시간의 확보
        ■ 통풍력손실을 최소화한 설계
        ■ 역화에 손상되지않는 버너의 설치
❑ 버너 탈부착 장치에 의한 손상방지

소각후 버너를 자동 분리하여 내부고열에 의한 버너고장을 완벽 차단합니다.
        ■ 소각로 고장 80%에 해당하는 버너손상을 근원적 차단
        ■ 소각후 무부하냉각가동시간의 90%이상 절감
        ■ 무부하가동용 전기비, 인건비등 유지관리비 감소
❑ 3단소각제어로 완전연소

3단연소제어시스템으로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매연, CO발생을 차단합니다.
        ■ 스토커 및 구동부위에 의한 상부 1차 폐기물소각의 안정적인 소각을 유도
        ■ 상부 가스층에 대한 2차 산소를 공급, 충분한 연소환경을 조성
        ■ 가스연소를 위한 체류시각확보와 고온소각으로 매연, CO의 완전연소를 유도
t7❑ 집진장치

1차 CYCLONE을 통하여 50%내외의 비산분진을 제거하고 후단 BAG FILTER를 제거하는 방식입니다.
        ■ 자체공압노즐분사 설치로 제거 및 탈리효율증대
       ■ 넓은 표면적으로 제거효율이 높고 압력손실이 적음
        ■ 지지부 내열재질을 사용 수명이 길고 탈락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
t5❑ 세정장치(SCRUBBER/SDR)

친수성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입니다..
        ■ 스크러버(SCRUBBER): SOx, HCl등 친수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중화제를 포함한 액상흡수제를 뿌려 흡수 제거
        ■ 반건식세정탑(SDR): 친수성물질을 제거하되 흡수 수분히 중화제반응후 열에 의해 증발하게 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이 없도록 설계
        ■ 자체 특수 노즐 제작으로 막힘증상이 없고 고른 제거효율을 가짐

t5❑ 질소산화물(NOx) 저감장치

화장로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제거반응열로 적극활용하여 높은 제거효율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였습니다.
        ■ Hybrid SNCR + SCR System 방식 채택
        ■ 연소실발생 고온의 열을 반응열로 활용하므로 추가 가열설비가 불필요
        ■ 고온 SNCR에서 50%이상 1차제거후 후단 SCR로 잔여 NOx를 제거
        ■ SCR에 비해 촉매 50%이상 감소로 투자비와 유지관리비를 감소
        ■ 자체 특수 노즐 제작으로 막힘증상이 없고 고른 제거효율을 가짐
t8❑ 다이옥신저감장치

화장로특성상 막힘없는 통풍력저하를 예방하면서도 높은 제거효율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.
        ■ SCR촉매탑+ 건식반응설비 + 여과집진설비 조합방식 채택
        ■ 폐수 처리설비가 불필요
        ■ 제거율: 활성탄주입100mg/N㎥일 때 다이옥신 제거효율 : 98%
❑ 유독가스 소각방식

유독가스의 다양한 성상에 맞는 맞춤형 소각로를 설계제공함으로써 위험물질을 완벽히 제거합니다.
        ■ 이중 점화 시스템으로 유독가스의 미연소가 일부라도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시 연소가 가능
        ■ 부하변동을 통제하기 위한 통풍압 및 온도콘트롤 방식
        ■ 응급시 긴급소화 및 차단이 가능한 긴급제어시스템

   주요 기술

 


❑ 주연소실
일반폐기물, 지정폐기물, 의료폐기물과 같은 다양한 폐기물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연소방식을 선택하여 제공함으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.
■ 단열재질의 다양화로 연소방식에 따른 적합한 내화단열방식을 제공
■ 최고 1400℃이상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내화물의 시공가능
■ 자동 투입, 자동 재배출로 한번에 이루어지는 논스톱연소방식 채택
■ 사용하기 편리한 쾌적한 사용자 제어시스템
t6
❑ 재연소실
충분한 재연소와 버너불꽃의 미 반응부가 없도록 연소실을 설계함으로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.
■ 2차버너에 의한 완전연소방식을 채택하여 CO등 미연소가스의 발생을 차단
■ 충분한 체류시간의 확보
■ 통풍력손실을 최소화한 설계
■ 역화에 손상되지않는 버너의 설치
t10
❑ 유독가스 소각방식
유독가스의 다양한 성상에 맞는 맞춤형 소각로를 설계제공함으로써 위험물질을 완벽히 제거합니다.
■ 2중 점화 시스템으로 유독가스의 미연소부분이 없도록 설계
■ 부하변동을 통제하기 위한 통풍압 및 온도콘트롤 방식
■ 응급시 긴급소화 및 차단이 가능한 긴급제어시스템
t10
❑ 유독가스 소각방식
유독가스의 다양한 성상에 맞는 맞춤형 소각로를 설계제공함으로써 위험물질을 완벽히 제거합니다.
■ 이중 점화 시스템으로 유독가스의 미연소가 일부라도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시 연소가 가능
■ 부하변동을 통제하기 위한 통풍압 및 온도콘트롤 방식
■ 응급시 긴급소화 및 차단이 가능한 긴급제어시스템
t7
❑ 집진장치
1차 CYCLONE을 통하여 50%내외의 비산분진을 제거하고 후단 BAG FILTER를 제거하는 방식입니다.
■ 자체공압노즐분사 설치로 제거 및 탈리효율증대
■ 넓은 표면적으로 제거효율이 높고 압력손실이 적음
■ 지지부 내열재질을 사용 수명이 길고 탈락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
t5
❑ 세정장치(SCRUBBER/SDR)
친수성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입니다..
■ 스크러버(SCRUBBER): SOx, HCl등 친수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중화제를 포함한 액상흡수제를 뿌려 흡수 제거
■ 반건식세정탑(SDR): 친수성물질을 제거하되 흡수 수분히 중화제반응후 열에 의해 증발하게 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이 없도록 설계
■ 자체 특수 노즐 제작으로 막힘증상이 없고 고른 제거효율을 가짐
t5
❑ 질소산화물(NOx) 저감장치
화장로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제거반응열로 적극활용하여 높은 제거효율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였습니다.
■ Hybrid SNCR + SCR System 방식 채택
■ 연소실발생 고온의 열을 반응열로 활용하므로 추가 가열설비가 불필요
■ 고온 SNCR에서 50%이상 1차제거후 후단 SCR로 잔여 NOx를 제거
■ SCR에 비해 촉매 50%이상 감소로 투자비와 유지관리비를 감소
■ 자체 특수 노즐 제작으로 막힘증상이 없고 고른 제거효율을 가짐
t8
❑ 다이옥신저감장치
화장로특성상 막힘없는 통풍력저하를 예방하면서도 높은 제거효율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.
■ SCR촉매탑+ 건식반응설비 + 여과집진설비 조합방식 채택
■ 폐수 처리설비가 불필요
■ 제거율: 활성탄주입100mg/N㎥일 때 다이옥신 제거효율 : 98%


 

   취급 품목

gear-1300472

  • 폐기물 소각로

  • 병원성폐기물 소각로

  • 동물사체 소각로

  • 독가스 소각로


 

concentration-16032_1920

자료가 필요하신가요?

상담이 필요하신가요?

지금 연락주세요!

 : 1600 - 2901

: dbe2@dben.kr